화장품생산 16조6533억원, 코로나19 이전 수준 회복
9.8% 증가 2019년 실적 상회···수출도 역대 최대 실적, 무역수지 흑자 9조원 돌파
신대욱 기자 woogi@cmn.co.kr
[기사입력 : 2022-07-14 23:09:48]
2021년 화장품 생산실적 현황
[CMN
신대욱 기자]
지난해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이 10%
가까이 성장세를 보이며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최근 발표한 지난해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 현황을 보면,
전체 생산실적은 전년 대비 9.8%
증가한 16
조6,533
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2020
년 코로나19
여파로 16
년 만에 처음으로 6.8%
역신장(15
조1,618
억원)
한 것에서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
년 생산실적(16
조2633
억원)
과 비교해도 소폭 상승(2.4%)
한 수치를 기록했다.
9,359개사에서 12만개 생산
1개사 평균 생산품목 12.8개
지난해 생산실적을 종합하면,
생산실적을 보고한 책임판매업체수는 9,359
개사였고 이들 업체가 12
만44
개를 생산한 것으로 집계됐다.
생산실적을 보고한 책임판매업체 1
개사당 12.8
개의 제품을 생산한 셈이다.
지난해 생산실적을 보고한 책임판매업체수는 전년인 2020
년(8,942
개사)
보다 417
개사가 증가했다. 4.7%
의 증가세다.
생산품목수는 전년(12
만192
개)
보다 소폭 감소(-0.1%)
했다.
지난해 제조업체로 등록된 업체는 4,428
개사로 전년(4,071
개사)
보다 8.8%
증가했다.
책임판매업체는 2
만2,716
개사로 전년(1
만9,769
개사)
보다 14.9%
늘었다. 2013
년 등록된 3,884
개사와 비교하면 무려 484.9%
의 증가세다.
제조업체와 책임판매업체수는 최근 5
년간 각각 연평균 21.0%, 22.5%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2020
년 신설된 맞춤형화장품판매업에 따른 맞춤형화장품 판매업체는 전년(112
개사)
보다 65.2%
늘어난 185
개사가 등록됐다.
화장품 유형별로 살펴보면 두발 염색용 제품류와 방향용 제품류,
체모 제거용 제품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제품 유형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무엇보다 코로나19
로 인한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두기로 감소했던 색조화장용 제품류의 생산실적(1
조7,872
억원)
이 전년 대비 6.7%
늘어난 것이 눈에 띄었다.
코로나19
영향이 완만해지면서 다시 회복세로 접어든 것으로 풀이된다.
눈화장용 제품류(3,220
억원)
도 8.8%
의 증가세를 보였다.
한편으로 코로나19
영향에 따른 손세정제 등의 인체 세정용 제품류는 4.6%
증가한 1
조9,905
억원을 기록했고,
목욕용 제품류도 53.5%
증가한 195
억원의 생산실적을 올리는 등 여전한 증가세였다.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기초화장용 제품류도 전년 감소세에서 13.4%
증가한 10
조1,789
억원의 생산실적을 기록했다.
영유아용 제품류도 907
억원의 실적으로 전년대비 39.8%
성장했다.
손발톱용 제품류는 456
억원의 실적을 올려 전년보다 20.3%
증가했다.
면도용 제품류도 9.2%
성장한 1,356
억원을 기록했다.
두발용 제품류는 1
조7,075
억원으로 전년대비 1.4%
소폭 증가했다.
전체적으로 증가세를 보면 목욕용 제품류가 53.5%
로 가장 증가세가 높았고,
영유아용 제품류(39.8%),
체취방지용 제품류(36.4%),
손발톱용 제품류(20.3%),
기초화장용 제품류(13.4%),
면도용 제품류(9.2%),
눈화장용 제품류(8.8%),
색조화장용 제품류(6.7%),
인체세정용 제품류(4.6%)
등의 순이었다.
생산실적 점유율은 기초화장용 제품류가 61.1%
로 가장 높았고,
이어 인체세정용 제품류(12.0%),
색조화장용 제품류(10.7%),
두발용 제품류(10.3%),
두발염색용 제품류(2.0%),
눈화장용 제품류(1.9%)
등의 순이었다.
색조, 눈화장용 제품 다시 증가세
기능성 10.1% 성장, 완연한 회복
지난 2020
년 감소세를 보였던 기능성화장품 생산실적은 4
조9,891
억원으로 전년대비 10.1%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으나,
코로나19
이전인 2019
년 실적인 5
조3,448
억원에는 여전히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지난해 기능성화장품 생산실적은 전체 생산실적의 30%
비중을 차지했다.
기능성화장품은 주요 유형이 전년보다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여드름성 피부완화 제품과 탈모완화 제품이 큰 폭의 성장세를 보였다.
여드름성 피부완화 제품은 전년보다 132.7%
성장한 377
억원을 기록했고,
탈모 완화 제품은 전년보다 28.5%
증가한 3,922
억원의 생산실적을 올렸다.
코로나19
영향이 직접적으로 나타난 2020
년 역신장을 기록했던 주요 기능성화장품 제품군인 복합기능성과 주름개선,
자외선차단 유형은 모두 성장하며 완연한 회복세를 나타냈다.
특히 주름개선 제품군은 전년보다 18.1%
성장한 1
조6,274
억원의 실적으로,
코로나19
이전인 2019
년 수준(1
조6,684
억원)
으로 거의 회복한 모습을 보였다.
자외선차단 기능성 제품군은 4,657
억원의 실적으로 전년대비 8.8%
성장했고,
복합기능성 제품군은 1
조8,475
억원으로 전년보다 5.2%
증가했다.
반면 미백 제품은 3,068
억원으로 전년(3,204
억원)
보다 -4.2%
증가했다.
염모제도 3,082
억원으로 전년보다 소폭(-4.5%)
하락했다.
이밖에 제모제가 25
억원,
튼살로 인한 붉은선 완화 제품은 11
억원을 기록했다.
피부장벽 기능회복 가려움 등 개선 제품군은 지난해 생산실적이 없었다.
빅2기업 점유율 61.5%로 증가
후 천기단 화현 로션 최다 생산
책임판매업체별 생산실적은 LG
생활건강이 5
조4,886
억원으로 가장 높았다.
전년보다 11.7%
의 성장률을 보였고,
전년 32.4%
보다 소폭 상승한 33.0%
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이어 아모레퍼시픽이 4
조7,554
억원으로 두 번째로 높은 생산실적을 기록했다.
전년보다 19.4%
성장한 실적으로 점유율 역시 전년(26.3%)
보다 상승한 28.6%
를 차지했다.
무엇보다 이들 두 기업의 생산실적만 10
조2,440
억원으로,
전체 생산실적에서 차지하는 점유율만 61.5%
에 달했다.
전년 58.7%
보다 2.8%p
늘어난 점유율이다.
두 기업에 이어 애경산업(3,010
억원),
카버코리아(1,998
억원),
애터미(1,755
억원),
해브앤비(1,380
억원),
코스맥스(1,255
억원),
지피클럽(1,223
억원),
이니스프리(1,216
억원),
클리오(1,137
억원)
등의 순으로 상위 10
개 기업을 형성했다.
상위 10
개사의 생산실적만 12
조2,568
억원으로,
점유율도 전체 생산실적의 73.6%
에 달했다.
생산금액이 가장 많은 품목은 LG
생활건강의 더히스토리오브후 천기단 화현 로션으로 6,355
억원의 실적을 기록했다.
두 번째로 생산금액이 높은 품목도 LG
생활건강의 더히스토리오브후 천기단 화현 밸런스로, 5,461
억원의 실적을 올렸다.
이어 설화수 자음유액(2,344
억원),
더히스토리오브후 천기단 화현 크림(2,291
억원),
설화수 자음수(2,180
억원),
설화수 윤조 에센스(1,966
억원),
더히스토리오브후 비첩 자생 에센스(1,601
억원),
더히스토리오브후 공진향 폼클렌저(1,452
억원),
라네즈 스킨베일 베이스 40
호(1,363
억원),
설화수 자음유액(중국)(1,307
억원)
순으로 상위 10
개 품목을 형성했다.
상위 10
개 품목의 생산금액은 2
조6,319
억원으로,
전체 생산금액에서 차지하는 점유율만 15.8%
였다.
10년 연속 무역수지 흑자 달성
중화권 국가 수출 비중 61.3%
지난해 화장품 수출 실적이 역대 최고를 기록하면서 무역수지 흑자 규모도 사상 최대치인 9
조원을 돌파한 것도 주목받았다. 2012
년 이후 10
년 연속 흑자 달성이다.
화장품 무역수지는 2012
년 처음 1,006
억원의 흑자를 기록한 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해왔고, 2020
년 7
조9
억원에 이어 지난해 9
조161
억원을 기록했다.
이같은 흑자 기조는 역대 최고액을 기록한 수출 실적에서 나왔다.
지난해 화장품 수출 규모는 전년대비 21.3%
증가한 10
조5,099
억원(92
억 달러)
이었다.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 규모는 지난 2020
년 8
조2,877
억원으로 프랑스,
미국에 이어 세계 3
위로 올라선 바 있다.
지난해에도 프랑스,
미국에 이어 세계 3
위의 수출 실적을 기록하며 화장품 G3
국가 지위를 굳히고 있다.
무엇보다 화장품 수출 규모는 가전(86
억 달러),
의약품(84
억 달러),
휴대폰(49
억 달러)
보다 큰 것으로 집계됐다.
화장품 수출국은 153
개국으로 중화권 국가(
중국,
홍콩,
대만 등)
비중(61.3%)
이 여전히 높았다.
이와 함께 북미 지역(
미국,
캐나다 등)
과 일본 지역 비중이 전년 대비 각각 29.5%, 22.4%
증가하며 전체 수출 증가를 이끌었다.
주요 수출국을 살펴보면 중국이 48
억8,171
만 달러로 전체 수출의 53.2%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미국(8
억4,104
만 달러, 9.2%),
일본(7
억8,412
만 달러, 8.5%),
홍콩(5
억7,827
만 달러, 6.3%),
베트남(3
억397
만 달러, 3.3%),
러시아 연방(2
억9,045
만 달러, 3.2%),
대만(1
억6,488
만 달러, 1.8%),
태국(1
억3,651
만 달러, 1.5%),
싱가포르(1
억1,700
만 달러, 1.3%),
말레이시아(1
억506
만 달러, 1.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수출 증가액이 가장 높은 국가는 키르기스스탄(62.1%)
으로 나타났고,
이어 우크라이나(52.5%),
카자흐스탄(43.4%),
아랍에미리트연합(36.3%),
중국(28.1%),
일본(22.4%)
등의 순이었다.
한편,
화장품 수입금액은 13
억523
만 달러로 전년대비 11.7%
증가했다.
프랑스가 4
억3,551
만 달러(
점유율 33.4%)
로 가장 높았고,
이어 미국이 2
억9,982
만 달러(23.0%)
로 두 번째 수입국이었다.
이어 일본(1
억2,882
만 달러, 9.9%),
태국(6,199
만 달러, 4.8%),
영국(5,716
만 달러, 4.4%)
등의 순이었다.
[본 기사는 주간신문CMN 제1177호 (2022년 7월 20일자) 마케팅리뷰 기사입니다.]
*주간신문CMN 제1177호 마케팅리뷰 지면(3면~5면)의 발행호수와 발행일자가 Jul 6, 2022 No.1175로 잘못 표기돼 Jul 20, 2022 No.1177로 바로잡습니다. 독자 여러분의 양해바랍니다.
Copyright ⓒ cmn.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