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품 제조업 3분기 경기전망 여전히 '잿빛'

경기전망지수 '55' 역대최저치 유지... 전체 제조업 경기전망 더 하락 '금융위기 수준'

박일우 기자 free@cmn.co.kr [기사입력 : 2020-06-30 15:33:10]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CMN] 화장품 제조업 3분기 경기전망이 여전히 잿빛으로 나타났다. 위안으로 삼을 만한 게 2분기에 비해 더 나빠지지 않았다는 것일 정도로 업체가 느끼는 체감경기는 바닥이다.


3분기 화장품 제조업 경기전망지수가 2분기와 동일한 ‘55’로 조사됐다. 전분기인 2분기에 이미 26포인트나 대폭 하락한 만큼 추가 하락은 없었지만, 역대 최악 수준에서 벗어나진 못했다.


우리나라 전체 제조업체들의 3분기 체감경기전망은 화장품 업종보다 더 나빠졌다. 3분기 전체 제조업 경기전망지수는 전분기대비 2p 하락한 ‘55’로 집계됐다. 이는 기존 최저치인 2009년 1분기 때와 같은 수준으로, 글로벌 금융위기로 몸살을 겪던 시기다.


전국 2.400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이번 경기전망지수(BSI: Business Survey Index)를 조사한 대한상공회의소는 글로벌 수요 감소와 2차 유행에 대한 불안감이 맞물려 수출과 내수 전망이 동반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대한상의는 “주요국들이 경제활동 재개에 나섰지만 코로나가 재확산 기미를 보이면서 수출길이 좀처럼 열리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진정세를 보이던 국내에서도 n차 감염사례가 늘면서 2차 유행에 대한 기업들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은행대출과 회사채 발행으로 버티는 기업들도 사태가 장기화 되면서 자금 조달이 원활하지 않아 극심한 자금압박에 시달리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 수출기업과 내수기업의 체감경기전망은 모두 하락했다. 3분기 수출기업의 경기전망지수는 직전 분기보다 1p 하락한 62, 내수부문은 3p 하락한 53을 기록했다. ‘작년 상반기 대비 올해 상반기 매출의 등락폭’에 대한 예상은 평균 –17.5%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모든 업종의 체감경기가 기준치를 밑돌았다. 미국·유럽 등 수출시장에서 고전 중인 ‘조선·부품(41)’과 ‘자동차·부품(45)’, 중국의 저가수출이 예상되는‘철강(45)’, 경기 영향이 큰‘기계(47)’ 부문은 50을 밑돌았다. ‘의료정밀(88)’, ‘제약(79)’ 부문은 K-방역 등에 대한 기대감으로 타업종 대비 높게 나타났다. 이외에 ‘식음료(69)’, ‘IT·가전(66)’, ‘정유·석화(66)’, ‘화장품(55)’, ‘섬유·의류(54)’, ‘출판·인쇄(61)’, ‘기계(47)’, ‘철강(45)’, ‘자동차·부품(45)’, ‘조선·부품(41)’ 등으로 조사됐다.


지역별 체감경기는 전국의 모든 지역이 기준치에 못 미친 가운데, 조선·자동차·철강 업체들이 밀집돼있는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인천 지역의 전망치가 낮게 나타났다. 관광객 급감으로 지난 분기(43) 가장 부진했던 제주는 여름휴가철 관광객 유입에 대한 기대감으로 전국에서 가장 양호한 지수를 기록했다. <제주(77), 대전(76), 강원(73), 광주(70), 전북(69), 충북(69), 전남(67), 서울(66), 충남(56), 경기(54), 부산(52), 울산(48), 대구(46), 인천(45), 경북(45), 경남(43)>


기업들은 ‘코로나 보릿고개’를 넘기 위한 정책과제 1순위로 ‘금융·세제 지원’을 꼽았다.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해 정부가 더 확대·강화해야 할 지원정책’을 묻는 질문에 ‘금융·세제 지원’(52.4%), ‘내수·소비 활성화’(46.8%), ‘고용유지·안정 지원’(43.5%), ‘투자 활성화’(25.1%), ‘수출·해외마케팅 지원’(14.4%) 등을 차례로 답했다.<복수응답>


한편, 제조업체 과반수는 포스트 코로나 대비에 신경을 쓰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포스트 코로나에 대한 대응책 준비 정도’에 대해 ‘피해최소화에 집중하느라 대응여력이 없다’(53.9%)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대응책 마련 중’(37.4%)이거나 ‘이미 마련해 추진 중’(8.7%)이라는 답변이 뒤를 이었다.


‘마련 중’이거나 ‘이미 수립한 대응책’의 주요 내용으로는 ‘R&D 활동 강화 등 핵심기술·역량 개발 주력’(66.2%), ‘글로벌밸류체인(GVC) 변화에 따른 부품·자재 조달 및 수출지역 다각화 검토’(56.1%), ‘디지털 공정, 비대면·온라인 회의, 재택근무제 도입 등 생산·근무환경 변화’(48.0%), ‘신산업·융복합 산업으로 업종전환 및 사업재편 고려’(26.6%) 순으로 많았다.<복수응답> 해외사업장을 갖고 있는 기업 중 유턴을 검토하고 있는 기업은 7.8%에 그쳤다.<‘검토 않는다’ 92.2%>


대한상의 김문태 경제정책팀장은 “코로나 장기화로 인해 기업들은 자금압박, 고용유지, 미래수익원 부재라는 ‘삼중고’를 겪고 있다”며 “피해최소화와 경기부양을 위한 정책들이 하루빨리 시행되고, 정책을 뒷받침할 수 있는 입법 조치들이 국회에서 조속히 통과될 수 있도록 정책주체들의 합심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대한상의 기업경기전망지수는 100이상이면 ‘이번 분기의 경기를 지난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의미고 100이하이면 그 반대다.

Copyright ⓒ cmn.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 컨텐츠 이미지

인기기사

뉴스레터뉴스레터구독신청

제휴사 cbo kantarworldpanel kieco
img img
스크린뷰광고 이미지